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피플 > 커버스타
[인터뷰] 본능적으로, <스위트홈> 시즌2 송강
임수연 사진 최성열 2023-12-20

<스위트홈> 시리즈의 중추는 가족을 잃고 마음의 문을 닫는 은둔형 외톨이, 차현수다. 시즌1에서 그린홈 아파트 주민들과 공생하며 이타심을 발휘했던 그는 괴물화가 진행된 후 스스로 실험체가 되기 위해 밤섬 특수재난기지로 향한다. 자신이 인간을 압도할 수 있는 신인류로 진화했음을 깨달은 후에도 그는 인간성의 본질을 잃지 않기 위해 분투한다.

- <스위트홈> 시즌1 이후 <좋아하면 울리는> 시즌2, <나빌레라> <알고있지만,> <기상청 사람들: 사내연애 잔혹사 편> 등을 찍었다. 다른 캐릭터와 친해졌다가 오랜만에 차현수 역할로 돌아오니 어떻던가.

= 시즌1을 찍을 때 나름대로 엄청난 노력을 했기 때문에 전혀 거리감이 없었다. 시즌2와 시즌3를 함께 찍을 때 따로 현수로 돌아오는 것을 의식하지 않아도 될 만큼 이미 내게 깊숙이 자리 잡은 캐릭터였다. 원래는 촬영 전날 긴장을 많이 하는데 이번에는 빨리 촬영장에 가고 싶어 설렜다. 다만 현수가 시즌1에 비해 좀더 성숙해졌으면 좋겠다는 이야기를 감독님과 나눴다.

- 시즌1과 시즌2가 바로 이어지는 타임라인인데 성숙함을 더한 이유는 무엇인가.

= 현수가 깨어나자마자 곧바로 특수재난기지에 간다. 시즌1에서 실패를 한번 맛본 뒤 시즌2에서 각성하고 다시 외로운 삶을 선택한 것이다. 그래서 감정을 표정에 잘 드러내지 않으려고 했다. 어린 소년처럼 보이지 않게끔 모니터를 보면서 계속 점검했다.

- 대사가 적은 데다 표정에 감정이 직접 드러나지 않는다는 건 배우에게 꽤 까다로운 숙제였을 듯하다. 어떻게 극복해나갔나.

= 일이 없을 땐 집에만 있는 편이다. 평소에 말수도 적다. 어떻게 보면 현수의 모습이 내 일상과 닮아 있기 때문에 그리 까다롭지 않았다. 다른 점이 있다면 현수는 이 외로운 싸움을 이겨내야 한다고 버티는 상황에 처해 있다는 것이다.

- 현수는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를 고민하며 체념과 광기, 따뜻한 휴머니즘을 오가는 내밀한 감정을 보여줘야 한다. 어떻게 그 감정을 찾아나갔나.

= 집에서 하는 일의 50%가 상상하는 것이다. 유튜브로 피아노곡을 틀어놓거나 책을 읽으면서 내가 곧 연기해야 할 캐릭터의 감정에 깊이 파고든다. 만약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는 감정 신을 앞두고 있다면 2주 전부터 일상에서 그 심리를 생각하다가 3~4일 전부터 깊숙하게 들어간다.

- 캐릭터의 감정을 이해하는 것만큼이나 그것이 어떻게 보이느냐도 중요하지 않나. 실제 배우가 그 감정을 느껴도 제대로 표현되지 않을 수 있고.

= 내가 슬프다고 엉엉 울어도 그 감정이 제대로 표현되지 않을 때가 있다. 그런데 표정이 거의 드러나지 않는 풀숏에서 오히려 슬픈 정서가 더 잘 드러날 때가 있다. ‘이게 뭘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어제 ‘호흡’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책 5권을 주문했다. 사람이 신체를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는 없지만 호흡은 가능하다. 감정에 따라 호흡이 달라지기 때문에 내가 호흡을 본격적으로 공부한다면 연기 기술 면에서도 배워가는 게 있겠더라.

- 현수는 백신 개발을 위해 스스로를 희생한다. 은둔형 외톨이라 사람들과 거의 교류하지 않던 현수가 이 정도 이타심을 보여주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 현수는 원래 이타적인 유전자를 갖고 있었다. 시즌1 회상 장면을 보면 그가 변하기 전에는 모든 일에 솔선수범하고 리더십 있는 캐릭터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이타심을 발휘해야겠다고 각성한 결정적인 계기는 아이들 때문이 아닐까. 결국 실패로 돌아갔기 때문에 더더욱 의지가 불타올랐을 것이다.

- 시즌2 첫회 자동차 액션 신을 포함해 고난도의 액션 신을 다수 소화했다. <나빌레라> 때부터 몸 쓰는 연기를 잘한다고 느꼈는데 혹시 타고난 것 같나.

= 아니다. 그런데 액션 연기에 재미를 많이 느낀다. 평소 집에만 있고 말도 거의 하지 않는 내게 일상 신은 왠지 어렵게 느껴진다. 연기의 호흡을 잡으려면 정말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 그런데 액션 신은 굳이 생각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감정도 호흡도 나온다. 액션 장면을 찍고 나면 등산을 끝낸 것처럼 상쾌하다.

- 좀더 본능적으로 하는 연기가 체질에 맞다는 거네. 그런데 배우 송강은 현실에 없을 법한 인물을 자주 연기한 배우 아닌가. 실제 자신과 다른 면모를 가진 캐릭터를 연기할 때 어떻게 간극을 좁혀나가나.

= 평소에는 말이 없지만 친한 친구를 만나면 밝고 장난도 잘 친다. 그렇게 캐릭터와 비슷한 면을 찾아보는 데서 연기를 시작한다. 대사를 칠 때 실제 내가 쓸 법한 대사를 한두 마디 추가하면 연기에 도움이 된다는 것도 깨달았다. 나와 현수는 비슷한 면도 있지만 나는 현수만큼 이타적이지는 못하다. <스위트홈>을 찍을 때 현장에서 장난치는 것도 자제하고 현수의 감정만을 생각하며 살아보려고 노력했다.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도 많았지만 의심하지 않고 믿어보려고 했다. 신기한 게 감독님이 “액션!”을 외치면 의심이 사라지고 진짜로 믿게 된다.

- <좋아하면 울리는> <스위트홈> 시리즈부터 최근 <마이 데몬>에 이르기까지, 송강은 ‘여성향 판타지’의 성실한 수행자라는 인상을 받았다. 직접 연기하는 입장에서는 어떤가.

= 내가 어떻게 보여지느냐, 누구에게 인기를 얻을 수 있느냐를 딱히 의식하진 않는다. 그보다는 캐릭터 자체를 본다. 다양한 장르물을 연기할 수 있다는 것은 정말 감사한 일이다. 판타지적인 인물을 연기하면서 오히려 스스로에 대해 몰랐던 것을 알아가고 있다. 평소에는 경험할 수 없는 일을 할 수 있다는 게 무척 재밌다. 그냥 새로운 도전을 하는 게 좋다.

- <스위트홈> 시리즈는 결국 ‘인간성’에 대해 질문하는 시리즈다. 인간을 인간이게 하는 것,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 현수는 상대를 만지면 그의 마음을 확인할 수 있는 특별한 능력을 갖고 있다. 인간이 느끼는 감정을 느낄 수 있다면 겉모습이 다르더라도 그는 인간이 맞다. 중요한 것은 마음이다.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