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BIFF Daily > 27회(2022) > 2022 부산국제영화제
#BIFF 1호 [인터뷰] 남동철 수석프로그래머, “완전한 정상화, 영화제다운 영화제를 향하여”
송경원 사진 최성열 2022-10-06

부산국제영화제 남동철 수석프로그래머 인터뷰

“코로나 이후 처음으로 완전 정상화된 영화제의 문을 연다.” 남동철 수석프로그래머는 올해 부산영화제를 한 마디로 명료하게 정리했다. 2022년 부산국제영화제는 거리두기 없이 100% 좌석으로 관객을 맞이한다. 이에 맞게 각종 행사와 특별전을 다채롭게 구성했고 많은 해외 게스트들을 초청하여 만남의 장을 마련할 준비를 마쳤다. “극장에서 영화를 보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고 극장이 점점 멀어지는 시대가 되어가는 건 아닌지 걱정스럽다. 이런 시기이기에 부산국제영화제에 오셔서 극장에서 영화를 본다는 것에 대한 진정한 기쁨, 보람 있는 시간을 얻어가시면 좋겠다.”

-코로나 이후 완전 정상화를 선언했다.

=매년 최선을 다해왔지만 방역 정책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축소해야 하는 부분이 있었다. 그렇게 지난 2년간 운영하다 보니 멈춰 선 부분도 있고 다시 시작하려 할 때 예산 확보에 난항을 겪는 분야도 생겼다. 올해는 그런 부분까지 모두 정상 개최하여 완벽하게 코로나 이전의 수준으로 돌아가고자 한다. 크고 작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스탭 모두 다시 시작되는 영화제에 대한 기대에 부풀어 있다.

-다행스러운 일이지만 아무래도 완전 정상화를 하려다 보니 축제 시작 전 예매 시스템의 사고가 있었다.

=죄송할 따름이다. 정상 개최에 따른 난항이라기보다는 그야말로 시스템적인 사고였다. 이유를 불문하고 기대하신 관객들에게 불편을 끼친 점 사과드린다. 스태프 모두 수습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좌석 조정부터 스케줄 전반에 대한 조정 중이다. 이후 불편함이 없도록 최선을 다해 조치하겠다.

-영화제의 방향을 제일 선명하게 보여주는 건 특별 프로그램들이다. 올해는 ‘일본 영화의 새로운 물결’, ‘21세기 다큐멘터리의 새로운 시선’, ‘양조위의 화양연화’ 세 개의 특별전을 준비했다.

=양조위 배우 특별전은 늘 하고 싶었는데 이번에 흔쾌히 응해주어 성사됐다. 본래 공로상 등을 고민했는데 배우 쪽에서 직접 자신의 영화를 프로그램하고 소개하는 것에 더 관심을 보여 특별전의 형태로 결정됐다. ‘21세기 다큐멘터리의 새로운 시선’은 강소원 프로그래머가 잘 설명해주실 거다. ‘일본 영화의 새로운 물결’은 허문영 집행위원장님이 먼저 아이디어를 내서 시작됐다. 어떻게 구성할지 여러 고민을 하던 중 하마구치 류스케 감독에게 일본의 다음 세대 감독 중 누가 눈에 띄는지 자문했다. 그렇게 도쿄, 오사카 영화제 프로그래머들의 자문을 더하고 추천목록들을 정리해가면서 10편의 영화를 엄선했다. 일본 영화에 관심 있는 관객이라면 흐름을 읽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지석상이 경쟁 부문으로 신설됐다.

=김지석 선생님이 돌아가시고 고인의 뜻을 기리기 위해 지석상을 만들었는데 어떤 영화들을 대상으로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있었다. 처음엔 아시아영화의 창 섹션의 영화 중에서 선정하자고 했는데 대상이 불분명하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었다. 이런 상황이라면 아예 하나의 섹션으로 독립시켜 선정작을 고르는 게 좋겠다는 판단하에 지석 부문을 신설했다. 큰 변화라기보다는 정돈이라고 보는 편이 적절할 것이다. 다큐멘터리 <지석>을 그동안 계속 제작 중이었고 마침 올해 완성이 되는 타이밍과도 잘 맞아떨어졌다. 다큐멘터리 <지석>은 김지석 프로그래머님을 기억하는 여러 영화인의 목소리를 담았다. 그분들과 함께 모여 영화를 관람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올해 월드 프리미어 상영을 결정했다. 모흐센 마흐말바프 감독님이 굉장히 중요한 비중으로 나오는데 일정 문제로 오지 못하셔서 아쉽고 안타깝지만 여러 의미에서 뜻깊은 추모행사가 될 것이다.

-작년에 신설된 OTT 섹션인 온 스크린은 대대적으로 확충됐다.

=작년에 상영한 세 편의 작품은 관객, OTT 플랫폼 양쪽에서 모두 반응이 좋았다. 영화의 범주를 넓게 생각하면서 영상산업 전반의 추세를 반영하고자 한다. 해외에서도 반응이 있는 걸로 알고 있다. 앞으로도 관객들의 꾸준한 관심과 사랑을 받는 섹션이 되지 않을까 싶다.

-기자회견에서 올해 개막작을 소개할 때 부산영화제의 정체성이 잘 드러나는 작품이라고 소개했다.

=제3회 부산국제영화제 때 김지석 선생님이 모흐센 마흐말바프 감독의 <고요>(1998)을 개막작으로 선정하여 상영한 적이 있다. 당시 대중성과 화제성이 떨어진다는 이야기가 나왔는데 실제로 영화가 지닌 호소력을 겪고 나면 우려가 불식될 것이라고 했던 게 기억이 난다. 올해 개막작 <바람의 향기> 역시 요즘 보기 드문 호흡과 아름다움을 가진 영화다. 스타가 나오는 것도 아니고 화제성이 떨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영화야말로 부산국제영화제가 추구해온 방향을 증명하는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아시아 영화의 미학을 소개하는 것이 부산국제영화제의 역할이자 전통이라면 올해는 딱 적합한 영화를 개막작으로 선보이는 셈이다. 영화적, 미학적으로 훌륭한 영화를 상영할 수 있어서 기쁘다.

-폐막작 <한 남자>를 비롯해 올해는 일본 영화가 두드러진다.

=특별전으로 모아둔 효과도 있을 것이다. 일본과 중국은 아시아 영화의 중요한 지역이고 작년에 이어 경향과 흐름을 정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2020년 뉴 커런츠상을 수상했던 <유코의 평형추> 하루모토 유지로 감독을 비롯하여 <하루하라상의 리코더>의 스기타 교시 감독, <실종>의 가타야마 신조 감독 등 코로나 때문에 오지 못했던 감독님들도 올해는 대거 방한 한다.

-아시아영화아카데미는 다시 시작하면서 ‘CHANEL X BIFF 아시아영화아카데미’로 명칭을 바꿨다.

=팬데믹으로 중단됐던 프로그램들을 재개하기 위한 재정 부담이 적지 않았다. 샤넬 측에서 그동안 꾸준히 지원 의사를 밝혀주었는데 단발성이 아니라 하나의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싶다는 취지 아래 가장 적합한 곳이 아시아영화아카데미라도 판단하여 성사됐다. 서로의 브랜드 가치를 상승시키는 좋은 사례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그 밖에 ACF 등 다방면으로 여러 단체의 지원이 필요한 곳이 많다. 재정 다각화를 위한 여러 가지 시도들은 계속될 것이다.

-부산국제영화제는 어느 순간부터 캐치프레이즈에 딱히 연연하지 않는 것 같다. 영화를 가장 영화답게 하는 프로그램 구성부터 OTT로의 확장, 커뮤니티 비프나 동네방네 비프처럼 지역과 밀착하는 프로그램까지 다방면에서 성과를 내고 있다.

=허문영 집행위원장님이 언급한 방향성과 일치하는 이야기일 텐데, 우선 핵심은 단단하게 가져가려 한다. 안정적인 코어를 중심으로 미학적인 최전선을 고민하는 동시에 최대한 넓게 대중과의 접촉면을 넓혀갈 것이다. 특별전 프로그램이 기둥을 세우는 일이라면 동네방네 비프 등은 그런 풀뿌리를 내리는 작업이다. 엘리트만의 행사가 아니라 대중적인 뿌리를 단단히 내리는 행사가 되고자 한다. 그런 의미에서 OTT 등 플랫폼의 확장도 외면해선 안 된다. 둘 중 하나의 선택이 아니라 양쪽 모두를 병행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