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Culture > 비디오 > 비디오 카페
인터넷, 한판 붙을래?
2001-06-26

비디오카페81

요즘은 나를 비롯한 대여점주들이 적극적으로 인터넷 환경에 익숙해져감을 피부로 느낄 수 있다. 각 제작사마다 사이트가 있음은 물론, 각종 프렌차이즈 사이트, 대여점 개인이 제작한 사이트, 각종 협회 사이트 등 다양하게 만들어져 있다. 이 업계의 사이트들에서 가장 볼 만한 메뉴는 바로 대여점주들이 직접 글을 올릴 수 있는 ‘자유게시판’이다.

최근 이 자유게시판에 오르는 글 중 가장 호소력있는 글이 바로 ‘인터넷 영화상영’에 관한 것이다. 업계에 불만이 있어도 속으로 가슴앓이를 해야 했던 시절을 생각하면 자신의 의견을 즉각적으로 또는 직접 밝힐 수 있다는 면에서 ‘인터넷’은 아주 유용한 매체임엔 틀림없다. 반면 비디오의 최대 경쟁매체이자 경계대상이 바로 인터넷임은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다.

불과 2년 전 피시방이 전국적으로 급속도로 번져나갈 때, 많은 고객이 피시방으로 옮겨가면서 비디오대여점들의 위기의식은 시작되었다. 더군다나 영화를 인터넷으로 볼 수 있는 환경이 되면서 대여점들의 근심은 더욱 커지게 되었다. 새로운 매체의 출현을 인정하지 않을 생각은 없지만 최근 문제가 불거지게 된 것은 비디오 출시가 되기도 전에 해당영화가 인터넷에서 상영하는 사례가 빈번해지면서부터이다.

극장개봉에서 비디오 출시까지, 또 최근에는 비디오 출시 뒤 몇 개월 이후에 인터넷 상영을 하는 소위 ‘홀드백 기간’을 상정해두는 것이 원칙이나 현재 그 원칙은 지켜지지 않고 있다. 인터넷상에서 영화를 상영하는 업체들은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 한시라도 빨리 인터넷에서 서비스를 해야겠지만 기존 시장이 정해놓은 원칙은 지켜야 하지 않을까? “인터넷으로 영화를 보는 사람이 몇이나 있어?”로 치부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닌 것 같다. 이주현/ 비디오카페 종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