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News & Report > News > 국내뉴스
정말 무서운 거 귀신이 아니라 인간 관계
2001-07-19

세상엔 정말 ‘저주’나 ‘원혼’같은 게 있는 것일까? 영화제 폐막작으로 선정된 윤종찬 감독의 데뷔작 <소름>은 30년 전 끔찍한 살인사건이 있던 아파트에 깃든 불길한 기운을 포착한다. 등장인물들로 하여금 한발짝도 내디딜 수 없도록 만드는, 낡은 아파트의 불안하고 위험한 공기는 보이지 않는 운명의 실타래가 짜놓은 그물이다. 얼핏 공포영화의 외양을 하고있지만 장르영화의 상투적 표현을 거부하는 <소름>은 ‘올해의 발견’으로 꼽힐만한 영화다.

<소름>은 미국 유학시절 만든 중편 <메멘토>가 출발점이다. 두 영화, <메멘토>와 <소름>을 낳은 이야기의 배경이 궁금하다. <메멘토>는 70년대 LA 빈민가에서 일어난 사건에서 영감을 얻었다. 이야기는 이렇다. 이민온 지 얼마 안된 젊은 한국인 부부가 갓난아이와 함께 빈민가 아파트에 살고 있었다. 독실한 기독교 신자인 흑인이 아파트 수위로 일하고 있었는데 며칠간 부부의 모습이 보이지 않고 애 우는 소리만 들렸다. 수위가 문을 따고 들어가 보니까 부부는 온데간데 없이 사라지고 며칠간 굶주린 애가 울음을 그치지 않고 있었다. 그는 아사 직전인 아이를 병원에 데려가 살린 뒤 자기 자식으로 여기며 살았다. 후일 교민사회에 이런 사실이 알려졌고 TV다큐멘터리로도 방영됐다. 이야기를 들으면서 이런 생각이 들었다. 이 아이가 흑인 수위의 자식이 되는 것은 운명이었을까? <메멘토>나 <소름>의 이야기는 여기서 시작됐다.

개인적이며 모던한 느낌의 <메멘토>와 달리 <소름>은 훨씬 어둡고 사회비판적이다. 전혀 공포물이 아닌 <메멘토>와 달리 공포영화라는 점도 다르다. <메멘토>에 대해 스스로 비판한 것은 지나치게 현학적이라는 점이었다. 그러다 IMF 사태가 터진 뒤 한국에 돌아왔는데 한국사회 자체가 굉장히 불안하고 어수선했다. 과거엔 뭔가 타도할 대상이라도 있고 분노하는 사람들이 있었는데 이젠 그런 논리조차 먹히지 않는 사회가 된 거 같았다. 4년 간 밖에 있다 돌아와보니 한국사회가 무섭고 끔찍했다. <소름>에서 그런 기운을 담아보고 싶었다. 귀신이 아니라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에서 느껴지는 공포, 그게 소름끼쳐서 <소름>이라는 제목을 달았다.

익숙한 공포영화를 연상한 관객에겐 난해하게 다가갈 수도 있다. 뭔가 새로운 영화를 찍고 싶었다고 했는데 <소름>은 어떤 면에서 새롭다고 생각했나 일단 이야기가 단선구조가 아니다. 풀어놓으면 단순한 이야기이지만 어떤 안내자가 등장해 설명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난해할 수도 있다. 관객이 스스로 찾아가는 구조를 택했고 관객이 해석할 수 있는 공간을 열어뒀다. 아주 쉽게 설명될 수도 있겠지만 답답하고 고지식하더라도 안내자 없이 끌고가야 영화의 무게가 산다고 판단했다.

운명이 우리를 지배하고 있다고 생각하나? 이것은 운명일까, 우연일까? 귀신은 있을까? 없을까? 내가 단언할 수 있는 입장은 아니다. 마지막 장면에서 주인공이 보고 있는 것이 귀신인지, 강박관념으로 인해 헛 것을 보고 있는 지, 나도 궁금하다.

남동철 기자

Sending Chills Down Your Spinal Cord

Korean Film 's Director Yoon Jong-chan

Director Yoon Jong-chan's debut film , chosen as the closing film at PiFan captured an ominous atmosphere of an apartment, the place of a gruesome murder that occurred 30 years ago. The insecure and dangerous aura of a torn down apartment, which lets none of the characters take a step forward is the outcome of an interwoven destiny. Do not mistake to be a typical horror film because it certainly rejects any conventional manifestations. is definitely a film that can be called "This year's discovery" in Korean cinema. Yoon Jong-chan, receiving an MFA at Syracuse University, gained acclaim as a new figure in the movie industry for his short film <Memento>.

is more shadowy and socially critical than the personal and modern like . Also, is a horror movie, this differentiating it with <Memento>. I think it is over pedantic to criticize myself. I came back to Korea after the IMF crisis broke out and found the society itself very unstable and chaotic. There used to be something to overthrow and be angry about, but now the society has become a place where people cannot even understand this logic. Our society seemed to have become completely alienated when I came back in 4 years, and it also seemed to be scary and terrifying. I wanted to show all of this in . I wanted to express a horror that comes from interacting with people and not from ghosts.

This film might seem a little complicating to those who are used to the typical horror movie. You said you wanted to make a few kind of film, in what aspect is a few kind of film? First of all, the storyline is not of a single line. It is simple once you untangle the story, but it might seem to be complicating because a narrator does not tell the story. I chose a structure that the audience could follow along and opened a space which the audience could interpret. Even though the movie might seem a little boring and earnest, I think there shouldn? be a narrator for the sake of the movie? dignity.

Do you think fate dominates us? Is this fate or a coincidence? Does a ghost really exist, or not? It's not for me to assert. I'd also curious whether the main character is looking at a ghost, or if it's just an obsession that the main character mistakes for a gh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