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김봉석의 B딱하게 보기
[B딱하게 보기] 요괴, 인간의 다른 얼굴

교고쿠 나쓰히코 <우부메의 여름> <망량의 상자>

교고쿠 나쓰히코의 <망량의 상자>

일본의 오니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도깨비만을 뜻하지 않는다. <음양사>를 본 사람이라면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사랑을 잃어버린 여인이 술수에 넘어가 한을 갖게 되고, 마침내 살아 있는 요괴가 되어버리는 것을. 원망이나 분노, 슬픔의 도가 지나치면, 살아 있는 그대로 뿔이 나고 입이 찢어지며 요괴가 되어버린다. 죽은 뒤에 귀신이 되는 것도, 처음부터 오니로 존재하는 것도 아니다. 그는 인간이었지만, 이제는 오니다.

교고쿠 나쓰히코의 소설 <우부메의 여름>과 <망량의 상자> 제목에 나오는 ‘우부메’와 ‘망량’은 모두 요괴의 이름이다. 소설에는 당연히 그 요괴들이 나온다, 라고 말하기는 좀 애매하다. 지금 일본에서 ‘현상’으로 불릴 정도로 인기작가인 교고쿠 나쓰히코의 ‘교고쿠도 시리즈’는 오히려 전통적인 추리소설에 가깝다. 요상한 사건이 있고, 사건의 트릭을 ‘안락의자형 탐정’에 흡사한 추젠지 아키히코가 풀어낸다. 추젠지는 헌 책방 교고쿠도의 주인이자 음양사이지만, 주문이나 술법이 아닌 논리적 분석을 통해 사건을 풀어낸다. 인간의 기억을 시각화하는 능력이 있는 탐정이 친구이긴 하지만, 그가 하는 일이 많지는 않다. 교고쿠도 시리즈는 추젠지의 추리와 그의 입을 빌린 교고쿠의 요설들로 페이지를 채워간다.

캐릭터의 매력이나 기묘한 사건 전개 등 추리소설로서의 재미도 탁월하지만, 개인적으로 교고쿠 나쓰히코의 작품에 끌리는 이유는 ‘요괴’에 있다. 소설 속의 사람들은 요괴를 보건, 요괴 때문에건 어디론가 빨려들어가 미망에 사로잡힌다. 그 요괴란 대체 무엇일까. 교고쿠 나쓰히코는 초자연적인 무엇을 전혀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거기에 현혹되는 어리석음을 경계한다. ‘망량은 사람에게 들러붙는 게 아니네. 그러니 떨어뜨릴 수 없어. 현혹되는 것은 사람쪽이지. 망량은 경계적인 존재이고, 따라서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다네. 그리고 섣불리 손을 대면 현혹당하네.’ 인간은 약하기 때문에 경계를 기웃거리지만, 정말로 현혹되면 오니가 되어버린다. 교고쿠 나쓰히코는 그 경계에서 서성거리는, 혹은 넘어가버린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교고쿠 나쓰히코는 <괴>라는 잡지의 책임편집을 맡는 등 ‘요괴전문가’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즉 교고쿠의 관심은 ‘요괴’ 자체라고도 할 수 있다. 나오키상 수상작은 더욱더 요괴 자체에 접근한 <후 항간에 떠도는 기묘한 이야기>다. 요괴는 인간과 함께 살아가면서도 인간이 아닌 그 무엇, 인간사회에서 내동댕이쳐진 누군가다. 나 역시 그들에게 이끌린다. 그들은 왜 자신의 내부에 있는, 혹은 세계의 근원에 있는 심연을 들여다보고 만 것일까. 교고쿠는 지독한 요설로 인간과 세계 그리고 요괴의 이야기를 질기게 늘어놓는다. 실용적인 지식은 아니지만, 항간에 떠다니는 그 잡설들은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의 맨얼굴을 보게 해준다. 요괴란 그런 것이 아닐까. 인간의 벌거벗은, 아니 세계의 추한 모습 그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