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생각도감
김은형의 오! 컬트 <넥스트 베스트 씽>
2002-04-23

나도 게이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

물론 최선은 완벽한 남자를 만나는 것이다. 동석한 친구에게서 “정말 사람좋게 생겼다”는 따뜻한 위로를 들을 필요없고, 함께 피트니스센터를 다니기로 했을 때 “등록비가 10만원이래. 내일까지 내 계좌로 넣어줘” 따위의 이야기를 하지 않는. 딴에는 서프라이즈 해준답시고, 바꾸러가는 수고를 덤으로 얹어주는 선물은 절대 하지 않고, 아이가 있을 경우 둘 다 바쁠 때는 당연히 자신의 사무실이나 약속장소에 아이를 데리고 가는. 어쩌다가 내가 한눈을 팔아도 “다음엔 발렌타인 30년을 마시자고 해”라며 여유있게 농담 한마디를 건네는. 그러나 내가 아는 사람 중에는, 아는 사람의 아는 사람 중에도, 아는 사람의 아는 사람의 아는 사람 중에도 이런 파트너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없다.

경험으로 봤을 때 최선은 영화 속에나, 플라톤의 이론 속에나 있다고 생각한다. 중요한 건 어떤 차선을 선택하느냐인데 마돈나가 선택한 차선(‘넥스트 베스트 씽’)은 차선 중의 최선으로 보인다. 비현실적으로 들리겠지만 이 영화에서는 생활인으로서의 마돈나와 마돈나적인 라이프스타일이 공존한다. 실연당한 뒤 “또 2년을 허비했어. 좀더 나이를 먹으면 아이를 낳을 수도 없단 말이야” 질질 짜는 마돈나의 모습을 보는 건 통쾌한 구석까지 있다. 음악에서나 이전의 영화에서나 마돈나의 이미지는 대개 내가 원하는 건 뭐든지 얻을 수 있다는 식이었으니까. 그 모습은 부러우면서도 꼭 “빵이 없으면 고기를 먹으면 되잖아”라고 말하는 마리 앙투아네트를 보는 것 같은 느낌도 든다.

그렇다고 이 영화에서 마돈나가 평범한 선택을 하는 건 아니다. 그는 게이친구 로버트와 대안가족을 만든다. <내 남자친구의 결혼식>에서 백명의 남자친구가 부럽지 않은 줄리아 로버츠의 게이친구 역을 했던 루퍼트 에버렛이 여기서도 멋진 게이로 등장한다. 그는 실연으로 괴로워하는 마돈나를 위로하기 위해 전 애인을 찾아가서 엿을 먹이고, 마돈나의 침대에서 함께 뒹굴뒹굴하며 텔레비전을 보기도 한다. 너무 많은 마티니잔에 의해 잠시 자신의 정체성을 까먹은 로버트와 애비(마돈나)는 하룻밤의 실수로 아이를 가진다. 한참 뒤에 애비의 전 애인 아이로 밝혀지기는 하지만. 아이를 위해 한지붕 아래 살면서 이들은 훌륭하게 부모노릇을 한다. 물론 부부는 아니다. 아주 가까운 친구에게 애인이 생기면 섭섭한 감정이 생기듯 이들은 서로의 애정생활에 샘을 내기도 하지만 그뿐이다. 오랫동안 한 이불을 덮었다는 이유로 양해해야 하는 무례함이나 거짓말, 그리고 무엇보다 이런 게 진정한 인생이라는 듯 독신친구들을 향해 피우는 구차한 거드름 따위가 필요없는 관계다.

이 영화도 그렇지만 <내 남자친구의 결혼식>이나 <파니 핑크>처럼 ‘잘 키운 게이친구 하나, 열 애인 안 부럽다’식의 관계설정이 영화에서 종종 등장한다. 단지 영화의 판타지적 속성 때문만은 아닌 것 같다. 나에게도 게이친구가 있다. 하룻밤의 사고를 칠 경우 게이 문중에서 당할 쪽팔림을 두려워하는 소심증 환자이기 때문에, 그리고 좋은 아빠가 되기에는 게을러터졌기 때문에 나중에 내 아이를 키울 일은 없겠지만 실연을 당했을 때 “쌔고 쌘 게 남자야” 따위의 비난만도 못한 위로를 하는 여자친구보다 나은 친구다. 남녀가 한지붕 아래 사는 건 곧 섹스하고, 결혼하고, 애를 낳는 것을 의미하는 한국에서 게이친구를 갖는다는 건 좀더 특별한 것 같다. 내 친구들에게 그 친구 이야기를 하면- 쫀쫀한 년이라는 욕일 때도 많은데- 대부분 부러워한다. 이 작품의 국내개봉 제목이 이렇게 바뀌었더라면 좀더 많은 관객이 특히 여성 관객이 들지 않았을까 싶다. <나도 게이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 김은형/ <한겨레21>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