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2
[특집] <씨네21>이 기록한 한국영화 2015년~2019년

2015년

2015년은 <씨네21>의 창간 20주년을 기념하는 해였다. 창간 특별호인 1000호의 표지는 <아가씨>의 박찬욱 감독, 배우 김민희·김태리·하정우가 장식했다. 2015년 3월은 <아가씨>의 촬영을 약 두달 앞둔 시점. 역사적인 영화와 기념할 만한 표지가 될 것을 예상하듯 <씨네21> 또한 만반의 준비를 마쳤다. 문화역서울284를 대관했고, 40여명의 참여 스태프, 3대의 분장차, 4명의 취재기자, 3명의 사진기자까지 도합 50여명이 동원된 대규모 표지 촬영 현장이었다.

<씨네21>과 부산국제영화제는 나이가 같다. 탄생은 <씨네21>이 1년 빠르지만, 주년으로 나이를 셈하는 <씨네21>과 달리 부산국제영화제는 날 때부터 1회였기 때문이다. 제20회 부산국제영화제의 개막을 맞아 <씨네21>은 영화의전당과 함께 ‘아시아영화 100선’을 선정했다. 한편 <씨네21>은 영화제 20주년을 맞아 사진전 <씨네21이 기록한 BIFF 20년의 기억>을 열었다. 20년 동안 부산국제영화제 데일리로 참여하며 찍은 143점의 사진이 영화의전당 비프힐 1층에 걸렸다.

창간 30주년을 맞아 한국영화계와 함께한 <씨네21>의 역사를 돌아보는 지금처럼, <씨네21>은 20주년에도 역대 인상적인 표지와 임수정, 강동원 등 배우들의 첫 순간을 모아 기록했다. 독자 여러분, 영화인 여러분, 모쪼록 40주년, 50주년까지 잘 부탁드립니다.

2016년

안보영, 남순아, 김꽃비, 이영진(왼쪽부터).

2016년의 한국영화계는 말 그대로 ‘#영화계_내_성폭력’의 해였다. 인터넷을 중심으로 각종 문화계 내 성폭력 이슈가 대두됐고, 영화계도 예외는 아니었다. 캐스팅, 촬영 현장, 마케팅, 비평에 이르기까지 영화계 전반에 오랫동안 묵인돼왔던 성폭력 피해자들의 사례가 터져나왔다. <씨네21>은 여러 제보를 통해 피해 사례를 토로하는 창구로 기능했고, 11주 동안 영화계 내 성폭력에 대한 대담을 진행했다. 또한 영화계 내 성폭력의 구조적인 문제와 개별적인 사례들, 사건의 종류에 따른 대처 방안과 법률 자문 방식 등을 공유했다.

박예솜, 정하림, 고지수, 김신정(왼쪽부터).

영화계 내 성폭력 대담에는 최대한 다양한 경력, 세대, 직군에 종사하는 여성 영화인들과 해당 이슈에 공감하는 남성 영화인들이 등장했다. 첫 대담에는 ‘#영화계_내_성폭력’에 관련해 활동 중인 배우 이영진·김꽃비, 안보영 PD, 남순아 감독이 나서 영화계 내 성폭력 문제에 대한 오랜 고름과 최근의 분위기를 전했다. 이어서 여성 감독, 마케터, 제작자, 학자, 활동가, 평론가, 독립영화감독, 남성감독, 현장 스태프, 영화과 학생들이 대담에 참여해 각 분야의 너른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그건 연기가 아닌 성폭력입니다’ 포럼 현장.

2017년 1월 <씨네21>은 한국여성민우회와 함께 긴급포럼 ‘그건 연기가 아닌 성폭력입니다’를 개최했다. 손희정 연세대학교 젠더연구소 연구원, 이언희 감독 등이 영화계 내 성폭력 문제에 대한 발제를 공유했다. 영화계에 존재하는 남성적 카르텔이 어떻게 여성배우를 대상화하고, 반발을 제기하는 여성배우가 어떻게 “큰돈 들어가는 프로젝트를 망쳐먹는 쌍년”(손희정)이 되는지를 구체적으로 짚는 자리였다.

2017년

문재인, 이재명 후보(왼쪽부터).

2017년 장미 대선 직전 <씨네21>은 대선주자들을 만나 영화·문화계 이슈에 대한 생각을 물었다. <씨네21>의 대선후보 인터뷰는 16대 대통령 선거 이전 고 노무현 대통령, 이회창 전 한나라당 후보의 인터뷰 이후 약 15년 만이었다. 문재인 당시 후보는 “지원은 하되 간섭은 하지 않는다”라는 김대중, 노무현 정부의 원칙을 이어 “문화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공정한 저작권, 공정한 제작 구조, 공정한 수익분배 구조를 확립”하겠다고 선언했다.

미투(#MeToo) 운동 특집을 위해 2018년 3월 ‘문화예술계 내 성폭력 사건 공동대책위원회 기자회견’ 을 찾았다. 당일 현장 기록에 그치지 않고 국제영화제 내부에서 벌어진 성추행 사건을 후속 취재하고 해결책을 논의하는 전문가 대담과 ‘미투’를 고민하는 이들을 위한 Q&A도 덧붙였다. 피해자 혼자만의 싸움이 되지 않도록 <씨네21>도 연대의 힘을 보탰다.

근로기준업 개정안 시행을 앞두고, 바쁘디바쁜 영화인들을 위한 주 52시간 근무제 가이드라인을 준비했다. 영화진흥위원회에서 마련한 근로기준법 개정안 관련 영화계 현안 설명회에 참석해 정부와 현장의 목소리를 고루 듣고 미술, 조명, 배우 등 파트별로 궁금증을 해결하고자 했다. 영화 현장이 열정만으로 돌아가지 않도록, 좋아하는 일을 정당한 노동의 대가를 받으면서 할 수 있도록 <씨네21>은 계속 주시할 것이다.

2018년

<씨네21>은 2018년 11월 싱가포르 마리나 베이 샌즈에서 열린 ‘넷플릭스 See What’s Next: Asia’ 행사도 취재했다. 국내 유일의 영상전문지로서 한국에 상륙한 새로운 시청 플랫폼이 국내 미디어 시장에 미칠 변화를 예측하고자 했다.

2019년

송강호, 이선균, 최우식, 장혜진, 봉준호, 박소담, 박명훈, 조여정(왼쪽부터).

<기생충>이 제92회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4관왕을 해 열린 기자회견 현장에도 <씨네21>은 있었다. 현장의 환호를 담는 것에서 끝난다면 <씨네21>스럽지 못하다.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 코멘터리부터 전세계 각국의 <기생충> 아트워크 작업자와 <기생충>의 해외 배급사 관계자 9인의 이야기, <씨네21>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봉준호 감독의 연대기까지. 이 모든 걸 눌러 담은 <기생충> 스페셜 에디션을 제작해 전무후무한 역사를 기록했다.

봉준호 감독은 <기생충>을 가지고 <씨네21>과 여러 차례 마주 앉았다. 약 4개월간의 촬영을 마치고 후반작업을 마무리하는 단계에서는 <기생충>을 “아주 한국적인 영화이고 한국적인 디테일로 가득한 영화지만 동시에 전세계 모두가 동일하게 처한 현시대에 대한, 아주 보편적인 문제를 고민하는 이야기”라고 귀띔했다. 개봉 뒤에 만난 자리에서는 스포일러 상관없이 털어놓은 덕분에 <씨네21>은 <기생충>에 관한 거의 모든 정보를 확보할 수 있었다. “갑자기 초인종이 울리고 문광이 인터폰 모니터에서 ‘안녕하세요오?’ 하는 장면이 영화의 진짜 시작인 거다. 안전벨트를 매야지.”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