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ovie > 무비가이드 > 씨네21 리뷰
이기적인 인간들의 눈물이 일으킨 해일 <해운대>
이영진 2009-07-22

synopsis 해운대 상가번영회 회장인 만식(설경구)은 무허가 횟집을 운영하는 연희(하지원)에게 호감 이상의 마음을 품지만 입 밖에 내지 못한다. 몇년 전 인도양에서 쓰나미에 휩쓸리는 사고를 당한 만식은 함께 원양어선을 탔던 연희 아버지를 구하지 못했다는 자책 때문에 그녀 곁에서 서성이기만 한다. 해양구조대원으로 일하는 만식의 동생 형식(이민기)은 순찰을 돌던 중에 피서 온 삼수생 희미(강예원)를 구하게 되고 적극적인 그녀의 애정공세에 이끌린다. 한편, 지질학자 김 교수(박중훈)는 ‘메가’ 쓰나미에 해운대가 수장(水葬)될지 모른다고 경고하지만 정부 당국은 이를 무시한다. 게다가 전처 유진(엄정화)과 자신의 얼굴도 모르는 딸을 우연히 마주친 뒤 김 교수의 머릿속은 더욱 복잡하다.

<퍼펙트 스톰>이나 <투모로우>처럼, <해운대>의 주인공을 물이라고 단언할 수 있을까. 대마도를 덮친 뒤 10분 안에 해운대를 한꺼번에 삼킬 정도의 파괴력을 보유했다는 ‘메가 쓰나미’. 그러나 위험 경보는 예상을 깨고 영화가 시작된 지 한참이 지나도록 좀처럼 울리지 않는다. 연희 아버지와 만식이 바다에서 과거 조난을 당하는 도입부와 한반도의 동쪽에 쓰나미의 전조가 보인다는 김 교수의 다급한 목소리, 그리고 인서트 몇 장면을 제외하면, <해운대>의 전반부는 평범한 가족영화와 다르지 않다. 윤제균 감독의 전작인 <1번가의 기적>의 철거촌이 선착장으로 무대를 옮겼다고 봐도 무방하다. 바다를 목숨처럼 끔찍히 아끼는 사람들과 그저 개발의 대상으로 여기는 치들간의 대립도 나온다.

하지만 ‘메가 쓰나미’를 자꾸만 아끼고 숨기는 건, “스펙터클보다 드라마에 방점을 찍겠다”는 <해운대>의 전략이다. ‘선 드라마, 후 스펙터클’이라는 <해운대>의 전략은 기대 이상의 성공이라고 부를 만도 하다. 갖가지 에피소드들로 얽힌 다양한 인물들이 미리 방파제를 충실하게 쌓지 않았더라면, 뒤늦게 상륙한 ‘메가 쓰나미’의 가공할 만한 위력은 반감됐을 것이다. 혹시 CG가 후져서는 아니냐고? 블록버스터라면 따라다니는 흉흉한 소문과 달리, 한국의 모팩 스튜디오와 할리우드의 폴리곤 엔터테인먼트가 함께 작업한 컴퓨터그래픽 결과는 비교적 만족할 만한 수준이다. 우리가 익히 아는 달맞이고개가 쓰나미의 먹이가 되고, 광안대교에 집채만한 컨테이너 박스가 폭탄처럼 떨어지는 장면 등은 충분히 위협적이다.

영웅이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 외에 <해운대>가 할리우드 재난영화와의 다른 점은 ‘재해’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해운대>의 ‘메가 쓰나미’는 인물들간의 갈등의 증폭이 아닌 정화의 기제로 쓰인다. 가족 사이임에도 진실을 드러내 보이지 않던 이들은 쓰나미를 겪고 나서야 마음을 연다. <해운대>의 쓰나미가 이기적인 인간들의 눈물이 일으킨 해일처럼 보이는 것도 그 때문이다. 신파에 휘둘리지 않는 경험 많은 배우들의 균형감각 또한 돋보인다.

관련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