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News & Report > Report > 기획리포트
[포커스] 김기영의 <하녀> 1위, 한국영상자료원 ‘2024 한국영화 100선’ 공개
이우빈 2024-05-31

‘2024년 한국영화 100선’에서 역대 최고의 한국영화로 김기영 감독의 <하녀>(1960)가 선정됐다. 그 뒤를 <살인의 추억>(봉준호, 2003)이 바짝 쫓았다. 한국영상자료원(이하 영상자료원)은 창립 50주년을 맞아 지난해 6월부터 8월까지 ‘2024년 한국영화 100선’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학계·저널·창작·산업 관계자를 두루 포함한 선정위원 240명이 조사에 참여했다. 선정 대상 작품은 한국의 가장 오래된 극영화인 <청춘의 십자로>가 제작된 1934년부터 2022년까지 제작·개봉한 국내 장편영화(극영화, 다큐멘터리, 독립영화, 예술영화, 실험영화, 애니메이션 등 포함)였다. 영상자료원은 설문조사를 통해 최종 선정된 100편의 작품 중 상위 10편은 득표수에 따라 순위를 매겼다. 나머지 90편은 제작연도순으로 나열했다. ‘2024년 한국영화 100선’ 전체 목록을 비롯한 선정위원 명단, 영화별 코멘트 등은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KMDb)의 리스트 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김기영 감독의 <하녀>는 영상자료원이 2014년에 진행한 ‘2014년 한국영화 100선’ 조사에 이어 다시 1위를 차지했다. 2014년 공동 7위에 올랐던 봉준호 감독의 <살인의 추억>이 단독 2위로 순위 상승했다. 3위에도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2019)이 이름을 올렸다. 이어서 <오발탄>(유현목, 1961), <올드보이>(박찬욱, 2003), <바보들의 행진>(하길종, 1975), <>(이창동, 2010), <8월의 크리스마스>(허진호, 1998), <헤어질 결심>(박찬욱, 2022),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홍상수. 1996)이 상위 10위권에 선정됐다. 박찬욱 감독은 7편의 연출작으로 100선 내에 가장 많은 작품을 올렸다. 다음으론 임권택 감독이 6편, 이만희·이창동 감독이 5편, 김기영·배창호·봉준호 감독이 4편, 이장호·이명세·이준익 감독이 3편으로 100선에 포함됐다. 100선 내 영화에 가장 많이 출연한 남자배우는 안성기·송강호(10회), 여자배우는 배두나(4회)였다.

한국영화사, 시대의 변화

‘2024년 한국영화 100선’엔 ‘2014년 한국영화 100선’보다 더 많은 21세기 이후 작품과 여성감독의 작품이 포함됐다. 한국영화사를 바라보는 시선에 변화의 바람이 분 것이다. 2014년 상위 10개 목록에 선정된 21세기 이후 작품은 <살인의 추억>뿐이었다. 반면에 2024년 상위 10개 목록엔 가장 최근작인 <헤어질 결심>을 포함해 21세기 이후의 작품이 총 5편 뽑혔다.

대신 <자유부인>(한형모, 1956), <마부>(강대진, 1961), <별들의 고향>(이장호, 1974) 등 21세기 이전 작품들이 10위권 밖으로 이동했다. 전체 목록에서도 21세기 이후 영화가 39편 선정되며 최근작의 비율이 높아졌다. 1940~60년대 영화의 비중은 2014년 30편에서 2024년 15편으로 감소했다. 봉준호, 박찬욱, 이창동, 홍상수 등으로 대표되는 21세기 전후 감독들의 작품이 한국영화사의 새로운 고전으로 자리매김한 것이다. 영상자료원은 “선정위원들이 21세기 초반에 만들어진 한국영화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덧붙였다.

‘2014년 한국영화 100선’엔 변영주 감독의 <낮은 목소리-아시아에서 여성으로 산다는 것>(1995)이 유일한 여성감독의 영화로 이름을 올렸지만, ‘2024년 한국영화 100선’엔 여성감독들의 작품 8편이 추가돼 총 9편이 됐다. 새로 선정된 작품은 <미망인>(박남옥, 1955), <와이키키 브라더스>(임순례, 2001), <고양이를 부탁해>(정재은, 2001), <두 개의 문>(김일란·홍지유, 2011), <도희야>(정주리, 2013), <비밀은 없다>(이경미, 2015), <우리들>(윤가은, 2016), <벌새>(김보라, 2018)다. 영상자료원은 “여성감독 영화에 대한 한국 사회의 인식이 달라진 것으로 확인된다”라고 설명했다.

‘2024 한국영화 100선’은 240명의 선정위원을 ‘보는 사람’과 ‘만드는 사람’으로 나누어 설문을 진행했다. 선정위원의 성격에 따라 설문의 결과에도 차이가 있었다. ‘보는 사람’ 상위 10선에 선정된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휴일>(이만희, 1968), <복수는 나의 것>(박찬욱, 2002)은 ‘만드는 사람’ 상위 10선엔 뽑히지 않았다. 반대로 ‘만드는 사람’ 상위 10선의 <8월의 크리스마스>, <밀양>(이창동, 2007), <박하사탕>(이창동, 1999)은 ‘보는 사람’ 상위 10선에 없었다. 선정위원 중 ‘보는 사람’엔 영화 연구자, 영화 비평가, 영화제 프로그래머 등 171명이 포함됐다. ‘만드는 사람’은 영화감독, 촬영감독, 프로듀서, 배급 및 극장업 관계자 등 69명으로 구성됐다.

한편 영상자료원은 ‘2024 한국영화 100선’ 조사 결과를 기념해 특집 도서 <한국영화 100선>을 오는 6월 발간한다. 책에는 100선 선정작 리뷰, 100선 외 한국영화사에서 주목해야 할 작품의 목록, 보존이 필요한 TV와 OTT 시리즈, 한국영화사 연표 등이 수록된다. 추가로 영상자료원은 100선 선정 과정에 대한 영상자료원 담당자들의 대담 영상을 공개하고, ‘2014년 한국영화 100선’을 정리한 단행본 <한국영화 100선-영화학자, 평론가가 뽑은 한국영화 대표작>을 전자책으로 펴낼 예정이다.

관련영화

관련인물

자료제공 한국영상자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