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연으로 맺어진 가족만 가족이라 부를 수 있을까. 14살 소년 준호(이효제)에게 갑자기 닥친 혼란스러운 가족의 정의. 엄마가 사고로 의식을 잃은 후 남겨진 준호와 동생 성호(임태풍). 그리고 갑자기 관계를 맺게 된 성호의 친부(허준석)까지. 갈 곳을 잃은 준호의 성장의 시간을 지켜보는 영화 <홈>은 우리가 생각하는 가족의 정의를 다시 한번 되새겨보게 만드는 드라마다. 어린 준호가 겪는 마음의 비애, 꾹꾹 눌러담은 마음을 따라가는 섬세한 연출에 마음이 가는 드라마다. <우리들>(2016), <용순>(2017)을 통해 성장영화의 다양한 결을 선보인 제작사 아토ATO의 작품으로, 자전적 이야기를 바탕으로 시나리오를 써내려간 김종우 감독의 첫 장편 데뷔작이다.
-지난해 부산국제영화제 한국영화의 오늘-비전 부문에 초청된 후 채 1년이 안 돼 개봉까지 오게 됐다. 데뷔작 개봉을 앞둔 심정이 궁금하다.
=개봉하는 것만으로도 너무 좋고 아직 실감이 안 난다. 2016년 5월 부산영상위원회에서 피칭을 하고, 그해 9월에 촬영을 시작했다. 지원 없이 단편 작업만 하다보니 나에게는 이 모든 게 새로운 경험이었다. 이렇게 빨리 진행돼도 되나 싶을 정도로 일사천리로 진행된 것 같다. 단편 작업 때도 그렇고 아토ATO의 김순모 PD가 늘 힘이 되어주셨는데 이번에도 큰 도움을 주셔서 믿고 여기까지 오게 됐다. 정말 꿈만 같다.
-이부동생이 있는 준호의 설정은 본인의 자전적 이야기에서 출발했다고.
=8살 때 형과 헤어졌다. 형은 영천 시골에 있었고 나는 부산으로 이사왔다. 형이 고등학생 때였는데, 그때부터 형은 혼자 살았다. 왜 형이랑 떨어져 사는지 몰랐는데, 중학생 때 어머니가 우리 가족관계에 대해 이야기해주셨다. 돌이켜보면 그때 형이 얼마나 힘들었을까. 가족관계를 떠나 당시 형의 심정을 헤아려보면 너무 힘들고 아팠겠다는 생각이 들더라.
-어른들의 상황으로 인해 빨리 어른이 될 수밖에 없는 어린 소년 준호의 심리가 담담하게 극을 이끌어나간다. 준호의 이부동생 성호의 위치였던 감독님이 생각하는 형의 모습일 텐데, 감독님 형의 심경을 직접 반영하기도 했나. 또 형이 영화를 보고 어떤 말을 했을지도 궁금하다.
=아직 형은 영화를 보지 못했다.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영화 상영 후 인터뷰를 하는데,어머니도 이런 이야기까지 해도 괜찮겠나, 형이 걱정된다, 라는 말씀도 하셨었다. 겁이 났던 게, 내가 바라보는 형을 제대로 그렸을까 하는 거였다. 겉핥기가 되어서는 안 되는데, 이런 고민을 많이 했다. 남들이 뭐라고 하든 이러나저러나 나에게 형은 가족이다. 보통의 가족의 모습이 아니어도, 이런 가족도 가족이라고 이 영화를 통해 말하고 싶었다.
-몰랐던 엄마의 외도, 불행한 사고, 그렇게 어쩔 수 없이 인연이 된 또 하나의 가족 등 영화의 설정은 독하다. 소위 ‘막장 드라마’적인 바탕 위에 있지만 준호의 시선을 따라가는 극의 전개는 어른들 사이에 벌어진 사건을 부각시키지 않는다.
=스토리 라인을 보면 아침 드라마에 나오는 설정과 비슷한 지점이 많았다. 지인들과도 그 이야기를 많이 했다. 그런데 내가 차별화하고자 한 건 이런 상황에서 누구에게 집중하느냐, 어린 친구가 이런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일까, 그 방법에 대해 고민을 많이 한 것 같다. 좀 다른 시선이 나오지 않을까 싶었다. 물론 그 시선을 유지하려다 보니 시나리오 전개가 쉽지는 않더라. 준호 위주로 가려다보니 상황 전달이 잘 안 되는 부분이 많아졌다. 장편이라는 긴 호흡 동안 관객이 집중할 수 있도록 상황을 조금씩 수정해나갔다.
-상황 설정이나 혈연이 아닌 가족이 가진 의미를 부각시키는 주제적인 측면에서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바닷마을 다이어리>(2015)를 생각하게 되더라.
=이 영화를 하면서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영화를 보고 또 봤다. <바닷마을 다이어리>에서 감독님이 말하고자 한 가족의 개념과 내가 생각하는 부분이 맞물리는 지점이 있다고 생각했다. 카메라앵글이나 표현, 인물을 조명하는 방식은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2013)를 생각하면서 표현했다. 조금이라도 닮게 표현해낼 수 있다면, 흉내라도 낼 수 있다면 정말 좋겠다 싶더라.
-심성이 착한 ‘준호’라는 프리즘을 통과하다보니 영화 속 어른들 역시 그 누구도 나쁘지 않게 그려진다. 준호를 보살펴야 할 어른들이 오히려 준호보다 더 나약한 존재처럼 보이기도 한다. 영화에서 준호가 나쁜 결정을 하려고 하다가도 멈칫하는 부분이 있는데. 그 지점에서 영화가 지향하는 톤이 결정되는 것 같더라.
=원래 처음 쓴 이야기에는 준호가 어른들을 향한 극단적인 선택을 한다. 그런데 쓰다보니 그 결정에 확신이 안 서더라. 한주는 준호가 나쁜 행동을 하는 방향으로 썼다가, 한주는 그러지 않는 방향으로 썼다가, 그러기를 반복했다. 결국 김순모 PD에게 “형, 나 도저히 안 될 거 같아. 거기까지는 못하겠어”라고 실토했다. 그러자 김순모 PD가 “그럼 네 성격대로 하자, 대신 착한 사람만 나오는 이야기로 가보자. 나쁜 사람은, 어른조차 하나도 안 나오게”라고 하더라.
-<사도>를 통해 ‘리틀 소지섭’으로 각인된 이효제 배우가 본격적으로 극을 이끌어가는 주연으로 첫발을 내디딘 작품이다. 함께 작업하게 된 계기와 그의 강점은 무엇이라고 봤나.
=이효제 배우가 가진 이미지의 힘이 강하다. 시나리오 쓸 때부터 같이하고 싶었고, 나중에 만났을때 그 친구가 시나리오에 대해 이야기 하는 해석이 좋더라. 오디션이 아니라 서로 대화를 했는데, 정확하게 내가 의도한 방향으로 시나리오를 해석했다. 같이 영화를 하면서 ‘아역’이란 생각은 한번도 안 했다. 배우와 연출자로서 서로 작업한 시간이었다.
-<20대, 그들을 만나다>(2008), <하루>(2010), <그림자도 없다>(2013), <북경 자전거>(2014) 등 단편 작업을 꾸준히 해왔다. 영화에 입문한 계기는 무엇이었나.
=영화를 할 생각은 안 했었다. 공업고등학교를 나와서 일을 하다가 우연히 사촌 형을 따라서 호주로 워킹홀리데이를 떠났다. 그때 같이 일하던 분들 중에 영상을 찍는 분들이 많았고 그분들이 워킹홀리데이 생활을 찍는데 그게 너무 재밌어 보였다. 그때 영화 작업의 재미를 알게 됐다. 다시 돌아와 경성대학교 연극영화과에 진학했는데, 막상 연출의 기회가 별로 없었다. 연출을 하고 싶어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에서 연출을 전공하고 그때부터 돈을 모으고 빌리기도 하면서 단편 작업을 해왔다. 김순모 PD는 내게 형 같은 분인데 경제적으로나 작품에 있어서나 도움을 많이 주셨다. 부산국제영화제,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인디스페이스 영사 아르바이트를 하며 수익을 얻어 영화를 찍거나 기회가 될 때마다 다른 영화의 스탭으로 일을 하곤 했다.
-차기작도 작업 중인가? 어떤 이야기인가.
=불법 체류자 신분으로 태어난 소녀의 이야기를 쓰고 있다. <홈> 때부터 생각해둔 이야기인데, 이야기가 너무 무거운 방향으로 흐르는 것 같아서 다시 검토하고 있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