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피플 > people
<서치>로 한국 찾은 배우 존 조 - 아시아계 배우 ‘최초’의 책임감
장영엽 2018-10-25

“모든 일정을 조정해서라도 한국에 꼭 오고 싶었다.” <서치>의 주연배우 존 조가 한국을 찾았다. <스타트렉: 더 비기닝>(2009) 이후 9년 만의 내한이다. ’역주행 흥행’으로 화제를 불러모으며 전국 294만 관객(10월 14일 기준)을 동원한 <서치>는, 올여름 할리우드에서 <크레이지 리치 아시안>과 더불어 아시아계 영화인들의 힘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받았다. 그 중심에 배우 존 조가 있다. <서치>에서 실종된 딸을 찾아 헤매는 아버지를 연기한 존 조는 아시아계 배우들의 불모지처럼 여겨지던 스릴러 장르의 주연을 맡았다는 점, 오로지 디지털 기기의 스크린만을 배경으로 연기했다는 점에서 인상적인 활약을 보여줬다. <서치>의 국내 흥행 및 IPTV & OTT VOD 서비스 오픈을 기념해 한국을 찾은 존 조에게 이 작품이 남긴 것, 그리고 그의 현재에 대해 보다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서치> 개봉 당시에도 내한을 고대하는 한국 팬들이 많았다. 이번에 한국행을 결정한 이유는.

=<서치>의 VOD 서비스 오픈을 홍보하기 위해서지만, 그게 전부는 아니다. 사실 <서치>의 한국 개봉 당시에도 내한을 추진하려 했었다. 그런데 한국 개봉 절차가 등급 심의 문제로 다소 늦어지게 되었고, 스케줄 문제로 올 수 있는 시기를 놓쳐 매우 아쉬웠다. 이번에는 모든 일정을 조정해서라도 한국 팬들이 영화에 보여준 큰 호응에 보답하겠다는 생각으로 왔다.

-극장 상영이 끝나갈 무렵인데도 SNS상에서 여전히 당신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한국 팬들이 많다. 한국 팬들의 반응을 팔로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보고 있다. 마음의 평온을 위해 SNS 계정에 달리는 모든 댓글을 보지는 않는다. 하지만 한국 팬들에게만큼은 “복잡한”(한국말로) 감정을 가지고 있다. 한국에서 태어났지만 고향을 떠나 살아온 사람으로서, 한국 팬들에 대한 마음이 정말 각별하다. 배우로 활동하면서 이렇게까지 팬에 대해 깊은 감정을 느껴본 적이 없는 것 같다.

-<서치> 이전에는 미국 스릴러영화에서 아시아계 배우가 주연을 맡은 사례를 본 적이 없는 듯하다. 당신이 연기한 데이빗은 아시아계 미국 배우에 대한 스테레오타입을 깨는 인물이었다.

=개인적으로 그런 기록을 세웠다는 점이 기쁘고 자랑스럽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이 ‘최초’라는 타이틀을 그만 듣고 싶다. ‘15번째’ 아시아 배우가 스릴러 장르의 영화에서 주연을 맡았다는 말을 들으면 얼마나 좋을까. 최초라는 건 기분 좋고 자랑스러운 일이지만 동시에 이전에는 이런 사례가 없었다는 얘기이기도 하니까 어떤 면에서는 안타까운 마음도 든다.

-<서치>는 단순히 하나의 영화가 아니라 ‘현상’이었다. 올여름에 <크레이지 리치 아시안>과 더불어 아시아계 배우들이 주목받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앞으로 어떤 점들이 달라질 거라고 보나.

=여러 가지 면에서 올여름 아시아계 영화인들의 활약이 굉장히 고무적이라고 생각한다. 가장 먼저 얘기하고 싶은 건 아시아 관객의 사회적 활동이 증가했다는 점이다. 본인의 돈을 들여서 티켓을 산다거나 온라인상에서 활발한 토론을 하는 등 아시아계 관객의 커뮤니티가 만들어졌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본다. 또 이들의 행동력과 구매력이 영화의 흥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입증했기에 아시아계 관객이 어떤 영화를 보고 싶다는 식의 자기 주장을 확실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앞으로도 많은 활약이 기대된다. 개인적인 바람이 있다면 올여름 형성된 이 분위기를 좀더 효과적으로 활용했으면 한다는 거다. 아시아계 영화인들이 아티스트로서 만들고 싶은 예술작품, 그리고 아시아계 관객이 보고 싶어 하는 예술작품을 만드는 방향으로 이 흐름을 계속 이어갔으면 한다. 미국이나 할리우드가 주는 기회를 수동적으로 받는 데 그치지 않고, 능동적으로 움직이자는 거다.

-당신은 평소 SNS를 통해 인종차별 등의 사회적 이슈에 대해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영향력 있는 아시아계 미국 배우로서의 책임감 때문일까.

=평소 내가 더 주목하는 건 아티스트로서 나의 행복이지만…. 그렇다. 사회적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내는 이유는 ‘해가 되는 일을 하지 않겠다’는 의사의 직업적 마인드와 비슷하다. 예전에 아시아계 배우로서 나에게 주어지는 역할은 종종 나와 비슷한 사람들을 얕잡아보게 하는 역할이었다. 커리어를 시작할 때 즈음에 어떤 코미디 프로그램에 출연했었다. 누군가 나에게 인종차별과 관련된 농담을 했고 나는 분위기를 흐리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에 그 농담을 받아주고 적당히 넘어간 적이 있다. 당시에는 그 정도는 괜찮지 않을까 생각했었다. 순간 나는 출연진이 웃는 모습을 보았고 그들 모두가 나이 든 백인 남자였다. 그때 매우 화가 났던 기억이 난다. 이전까지는 느껴보지 못했던 감정이었다. 당시에 이런 감정을 느끼는 건 지금이 마지막이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 뒤로 인종차별적 요소가 포함된 일을 제안받는 족족 거절했고, 그런 선택이 나를 아시아계 배우 중 사회적인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내는 일종의 영웅처럼 만든 것 같다. 하지만 내가 개인적으로 그런 선택을 한 까닭은, 과거에 느꼈던 감정을 다시는 느끼고 싶지 않아서다.

-다시 <서치> 얘기로 돌아가보자. 당신이 연기한 데이빗은 여타의 아버지들과 달리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는 데 능한 인물이다. 실제로는 어떤가.

=그럭저럭 쓰는 정도다. 사실 <서치>를 촬영할 때 아니시 차간티 감독에게 계속해서 ‘사람들이 정말 이렇게 디지털 기기를 활발하게 쓰냐’고 물었다. (웃음) ‘아버지가 딸에게 전화 걸 때 정말 페이스타임을 쓰나요?’ ‘사람들이 노트북으로 문자를 보내나요?’ ‘난 휴대폰으로만 보내는데.’ 끝없이 이어지는 나의 질문에 감독은 계속 ‘네’라고 대답하더라. (웃음) 그래서 그의 방식을 따랐다.

-1991년생인 아니시 차간티 감독은 당신이 함께 작업한 감독 중 최연소 연출자였을 것 같다.

=그렇다. 그가 사용하는 영화언어는 나에게 익숙지 않은 다른 세대의 것이었지만, 현장에서 우리의 협업은 매우 전통적인 방식으로 진행됐다.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건 스토리텔링이었다. 캐릭터, 드라마, 서스펜스에 집중하는 게 우리의 목표였다.

-<서치>는 디지털 기기의 스크린에 비치는 영상만으로 극을 이끌어간다. 고정된 앵글 안에서 움직여야 해서 배우로선 연기하기 쉽지 않았을 것 같다.

=기존의 영화 현장과 가장 달랐던 점은 배우가 스스로를 컨트롤하지 못한다는 거였다. 투숏, 미디엄 클로즈업, 익스트림 클로즈업, 돌리숏…. 나는 전통적인 영화 촬영의 리듬에 익숙한 사람이지만 <서치>는 단 하나, 익스트림 클로즈업의 방식이 두드러지는 영화라는 점에서 어려웠다. 하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어려웠던 건 사람을 보지 않고 연기한다는 거였다. 촬영현장에 상대배우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 이것이 나에게는 가장 큰 도전 과제였다.

-참신한 형식의 <서치>를 비롯해 SF 블록버스터 <스타트렉> 시리즈, 코미디영화 <해롤드와 쿠마> 시리즈, 로맨스영화 <콜럼버스>(2017) 등 장르에 얽매이지 않고 배우로서의 폭을 넓혀가고 있다. 당신의 대답에 덧붙여서 질문하자면, 아티스트로서 어떤 선택을 할 때 행복감을 느끼나.

=아직 내가 원하는 모든 작품을 선택할 수 있는 위치에 있진 못한 것 같다. 하지만 기본적인 원칙이 있다면 내가 보고 싶은 영화에 출연한다는 거다. 영화를 단순히 직업으로 받아들이는 사람이 아니라, 마치 재미있는 놀이를 하듯, 신나게 작품에 임하는 사람들과 함께 일하고 싶다. 코미디든, 스릴러든, 액션영화든, 장르보다 중요한 건 열정적인 사람이다. 그런 사람들과 일할 때 가장 행복하다고 느낀다.

관련영화

관련인물

사진 소니 픽쳐스 엔터테인먼트